노동뉴스

노동공급 제약으로 2029년부터 취업자 감소 추가 필요인력은 2033년까지 82.1만명

  • 통영노동
  • 2025-03-18
  • Hit : 33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이창수)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통해 2033년까지 우리 노동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 수요(취업자)를 전망하고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추가로 필요한 인력 작년에 이어 전망했으며10차 인구 비상대책회의(3.11.)에서 논의한 후 그 결과를 발표했다.

1.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3~2033)

 주요 전망 결과를 보면, 경제활동인구는 2023년부터 2033년까지 24.8만명 증가하나 과거 10년간 증가 폭의 1/10 이하 수준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경제활동인구는 전망 전기(23~28)에는 증가하나 후기(28~33)부터 감소 예상되고양적인 축소뿐 아니라 고령층 비중 확대 등 구성효과로 인해 노동공급 제약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활동인구 증감 전망(천명) : (03-13) 3,065 (13-23) 3,095 (23~33p) 248

 동 기간(2023~2033) 취업자 수는 31.2만명 증가하겠으며노동공급 제약의 영향을 받아 전망 후기(-8.5만명)에 감소구체적으로는 2029부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

    취업자 증감 전망(천명) : (03-13) 3,049 (13-23) 3,116 (23~33p) 312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보건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는 한편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의 영향으로 출판업(소프트웨어개발 등)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온라인화·플랫폼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소매업음식·주점업도매 및 상품중개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업별로는 고령화 영향으로 돌봄,보건 및 개인서비스직보건·사회복지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고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의 영향으로 공학전문가정보통신전문가 등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온라인화로 매장판매직 큰 폭 감소가 예상되며자동화로 장치,기계조작직 감소학령 인구 감소로 교육전문가 등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 추가 필요인력 전망 

 이처럼 노동공급 제약이 향후 고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한국고용정보원은 현행「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수행 병행하여 향후 노동력 부족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를 막기 위해 노동시장 추가 유입되어야 할 필요 인력 규모를 작년에 이어 전망했다.

 그 결과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1.9%)를 달성하기 위해 2033년까지 추가로 필요한 인* 규모 82.1만명으로 전망했다.    (※전망 전기 5.8/전망 후기 10.7)

   * (추가 필요 인력) 노동수요 기반 필요 인력 전망결과(2,954.9만명) – 노동력 공급 제약 고려한 전망결과(2,872.8만명) 

 

전체 추가 필요인력의 양상은 상이한데향후 10년간 고용 증가가 가장 큰 산업별보건복지업 뿐 아니라 고용 감소가 예상되는 제조업, 도소매업에서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직업별전문가사무직 등 고숙련 직업군에서 가장 많이 필요로 하고, 단순노무직서비스직 중저숙련 직업군에서도 추가 필요인력 크게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출처:한국고용정보원

댓글

(0)
한마디 등록 폼